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총정리 (feat.청년희망적금)

 

청약도약계좌 가입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 기존 청년희망적금에서 단점을 보완해서 나온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청년희망적금이 처음 나왔을 때 고금리에 파격적인 혜택으로 많은 청년들이 가입했었는데요. 이번에 바뀌게 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청년도약계좌-가입조건-글씨-썸네일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대상자가 만 19세~34세 청년들이며 월 70만 원씩 5년간 적금을 넣으면 목독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.

 

이번 정부의 청년 핵심 공략 중 하나로 기존 청년희망적금보다 혜택과 지원대상범위가 넓어져서 청년 대상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 

 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알아보기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 

① 가입연령 : 만19세~34세의 청년 (병역이행한 경우 기간 제외)
② 소득 조건 (소득이 없는 경우 가입불가)
소득 6000만원이하,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 (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가능)
소득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 (정부기여금 X, 비과세 혜택만 가능)
가구 소득 조건 :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④ 월납입액 : 매월 최대 70만 원까지
⑤ 정부기여금 : 정부기여금의 경우 소득이 높은 경우 3%, 소득이 낮으면 6%의 기여금을 지원받게 됩니다.
⑥ 납입기간 :  의무가입기간 5년 


만약 의무가입기간 내 돈을 인출이나 해지할 경우 세금 가면액을 추징당하게 됩니다. 단, 가입자가 사망이나 해외지주, 퇴직, 질병,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의 사유가 있다면 예외로 인정해 줍니다.

 

기준 중위소득 180% 알아보기

가구원수

기준 중위소득

중위소득 180%

1인가구

207만7892원 374만205원

2인가구

345만6155원 622만1079원

3인가구

443만2816원 798만2668원

4인가구

540만964원 972만1735원

5인가구

633만688원 1139만5238원

6인가구

722만7981원 1301만366원

 

기준 중위소득의 경우 국민 100 가구 중 50번째 소득 즉 중간소득 가구를 뜻합니다. 개인이 아닌 가구단위로 계산되며 한 달 수익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닌 소득인정액으로 정해집니다. 소득인정액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 

 

위에 계산 방법으로 소득인정액을 알 수 있으며 간단하게 모의계산할 수 있는 사이트 링크 아래 클릭하시면 됩니다. 

 

▶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

- 2023년 6월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

 

 

청년도약계좌 혜택 알아보기

  • 적금만기 시 최대 5000만 원 
  • 이자 소득세 비과세 (연 840만 원)
  • 은행이자 5~6%(미정)
  • 정부기여금 월납입액의 3%~최대 6%까지 정부에서 보조
최대 납입금액 70만 원 X 12개월 X 5년 시 4,200만 원 + 정부기여금+이자소득 약 800만 원= 5,000만 원 예상

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혜택비교

기존 청년희망적음에 비해서 혜택이 좋습니다. 기존 청년희망적금도 파격적인 혜택이었지만 새롭게 발표될 청년도약계좌 또한 파격적인 혜택의 조건입니다. 가입조건 또한 많이 완화되어 가입할 수 있는 청년들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하지만 단점도 보입니다.

 

5년이라는 시간이 짧지 않아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데 긴 시간 동안 납입해야 하는 부담감과 공공요금을 포함한 물가상승으로 인해서 기간을 채우기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입니다. 최대 납입금액이 늘어나고 기간도 5년으로 길어진 만큼 계획을 잘 세워서 가입해야 하는 금융상품인 것 같습니다. 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혜택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아직 출시되기 전이지만 기존에 있던 청년희망적금의 업그레이드버전인 만큼 기대가 크고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. 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